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7 [사료학]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에 대해 알아봐요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은 크게 목초, 사일리지용 작물, 곡물 사료로 나뉩니다. 소와 같은 반추동물은 곡물 사료와 함께 건초, 사일리지등의 조사료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반추동물의 생리 때문인데요. 따라서 이러한 조사료에 대해 연구하는 사료학 역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사료 카테고리별 작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목초(牧草, Pasture Grass)소가 직접 뜯어먹거나 건초로 만들어 급여하는 풀입니다. 소를 키우는데 있어서 빠져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사료입니다. 소가 반추동물이기 때문인데요. 또한 소가 매우 좋아하는 기호식품이기도 합니다.티머시(오처드그라스):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하며, 건초로 많이 사용됩니다. 라이그래스: 잘 자라고 영양가가 높아 초지에서 많이 사용됩.. 2025. 3. 23. "can"과 "be able to"의 차이 알듯말듯 한번에 정리하고 가요 can과 be able to는 모두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지만,용법과 뉘앙스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can과 be able to는 모두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용법과 뉘앙스에서 차이가 있습니다.1. 기본적인 차이 can: 일반적으로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일상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be able to : "can"과 비슷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능력이나 가능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2. 시제에 따른 차이 can은 현재와 미래 시제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과거형(could)은 종종 일반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특정한 한 번의 사건을 말할 때는 was/were able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be able to는 다양한 시제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둘의 .. 2025. 3. 23. 단어 "neat" 뜻 아세요? 아는 것 같으면서도 생소하네요 "Neat"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형용사입니다. 주요 뜻과 예문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Neat"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형용사입니다. 주요 뜻과 예문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깔끔한, 정돈된 His desk is always neat and organized. (그의 책상은 항상 깔끔하고 정돈되어 있다.) 2. 멋진, 훌륭한 (비격식) That’s a neat idea! (그거 멋진 아이디어다!) 3. 단정한, 말쑥한 She wore a neat suit to the interview. (그녀는 면접에서 단정한 정장을 입었다.) 4. (음료 등을) 스트레이트로, 물이나 얼음을 타지 않고 I’d like a neat whiskey, please. (위스키.. 2025. 3. 22. 착한 곡물 호밀 vs 귀리, 생긴건 비슷해도 많이 달라요 차이점 알아볼까요? 호밀 vs 귀리, 뭐가 다를까?호밀과 귀리는 모두 우리에게 친숙한 곡물이지만, 사실 그 특성과 쓰임새가 꽤 다릅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1. 호밀과 귀리의 유래 호밀과 귀리는 둘 다 유럽과 서아시아에서 기원했어요. 호밀은 기원전 4000년경부터 재배되기 시작했는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해서 주로 동유럽과 북유럽에서 사랑받아왔어요. 특히 러시아와 독일에서는 호밀빵(라이브레드)이 식탁의 필수 요소입니다.귀리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재배되었고, 로마 시대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졌어요. 처음에는 주로 가축 사료로 사용되었지만, 요즘은 오트밀이나 오트밀크처럼 건강식으로도 많이 소비되고 있네요.2. 작물로서의 차이점 호밀과 귀리는 재배 환경과 생김새도 차이가 납니다. 호밀은 .. 2025. 3. 22. 이전 1 ··· 3 4 5 6 7 8 9 ···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