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6

[사료학] 국내 조사료 수급의 문제점 사료학을 공부하다보면 조사료에 대해 배우게 된다. 조사료는 거친사료라는 뜻으로 건초, 짚 등을 말한다. 조사료가 필요한 이유는 반추동물 때문이다. 소,양,말과 같은 반추동물은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이다. 자연상태에서는 생초를 직접 섭취하여 소화시키는데, 생초는 소화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소의 경우는 섭취한 풀을 입에서 잘게 만든 후 삼켰다가 어느 정도 소화되면 다시 토해내어 우물우물 씹게되고 다시 삼키고 하면서 완전히 소화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이 되새김질이다. 소의 위장도 이에 맞게 크게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효소와 미생물의 작용이 이 소화를 돕게 된다. 실질적으로 소는 풀을 분해한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위 안에서 미생물을 키우고 그 미생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는 셈이 된다... 2023. 5. 22.
닭의 품종 중 난용계, 육용계 및 겸용종의 종류 및 특징 닭의 품종 축산업은 가축을 사양하여 식량 혹은 다른 경제적 효용이 있는 상품을 생산하는 산업입니다. 다른 산업과 본질적인 의미는 동일하며, 단지 가축이 그 생산의 근원이 되는 것입니다. 축산업 중 양계산업은 닭고기와 달걀을 생산하여 상품으로 판매하게 되는데요. 이 두가지 중 어느 것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닭의 품종도 달라지게 됩니다. 아래는 닭의 품종 중에서 난용종, 육용종, 겸용종의 특성을 정리한 글입니다. 난용종, 육용종, 겸용종 닭의 품종을 나누는 기준 중 사육목적에 따라서 난용종, 육용종, 겸용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난용종으로 널리 알려진 품종에는 레그혼, 미노르카, 안달루시안, 햄버그 등이 있다. 난용종은 일반적으로 몸집이 작고 활동적이며 동작이 민첩하며 그에 따라 사양관리를 예민하게 해야한다... 2023. 5.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