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농학_사료학51 소가 먹는 풀사료, 목초의 다양한 품종과 종류 알아보아요 소 사료로 쓰이는 목초(牧草, Pasture Grass)는 크게 한해살이풀(Annual)과 여러해살이풀(Perennial)로 나뉘며, 소의 방목, 건초, 사일리지(발효 사료)로 활용됩니다. 국가별 기후와 농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목초가 사용되며, 산업적으로는 축산업과 긴밀한 연관이 있습니다. 1. 주요 목초의 종류 및 특징목초 종류특징활용 방식티머시(Timothy Grass)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 소화가 잘됨건초, 방목오처드그라스(Orchard Grass)성장 속도가 빠르고 건조에 강함건초, 방목라이그래스(Ryegrass)단백질 함량이 높고 기호성이 우수방목, 사일리지알팔파(Alfalfa)단백질·칼슘이 풍부, 다년생건초, 사일리지수단그라스(Sudan Grass)건조와 병충해에 강함, 여름철 성장사일리지.. 2025. 3. 24. [사료학]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에 대해 알아봐요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은 크게 목초, 사일리지용 작물, 곡물 사료로 나뉩니다. 소와 같은 반추동물은 곡물 사료와 함께 건초, 사일리지등의 조사료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반추동물의 생리 때문인데요. 따라서 이러한 조사료에 대해 연구하는 사료학 역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사료 카테고리별 작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목초(牧草, Pasture Grass)소가 직접 뜯어먹거나 건초로 만들어 급여하는 풀입니다. 소를 키우는데 있어서 빠져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사료입니다. 소가 반추동물이기 때문인데요. 또한 소가 매우 좋아하는 기호식품이기도 합니다.티머시(오처드그라스):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하며, 건초로 많이 사용됩니다. 라이그래스: 잘 자라고 영양가가 높아 초지에서 많이 사용됩.. 2025. 3. 23. 착한 곡물 호밀 vs 귀리, 생긴건 비슷해도 많이 달라요 차이점 알아볼까요? 호밀 vs 귀리, 뭐가 다를까?호밀과 귀리는 모두 우리에게 친숙한 곡물이지만, 사실 그 특성과 쓰임새가 꽤 다릅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1. 호밀과 귀리의 유래 호밀과 귀리는 둘 다 유럽과 서아시아에서 기원했어요. 호밀은 기원전 4000년경부터 재배되기 시작했는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해서 주로 동유럽과 북유럽에서 사랑받아왔어요. 특히 러시아와 독일에서는 호밀빵(라이브레드)이 식탁의 필수 요소입니다.귀리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재배되었고, 로마 시대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졌어요. 처음에는 주로 가축 사료로 사용되었지만, 요즘은 오트밀이나 오트밀크처럼 건강식으로도 많이 소비되고 있네요.2. 작물로서의 차이점 호밀과 귀리는 재배 환경과 생김새도 차이가 납니다. 호밀은 .. 2025. 3. 22. [토양학] 토양수분퍼텐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측정 방법 알아보아요 토양수분퍼텐셜의 의미토양수분퍼텐셜(Soil Water Potential)은 토양 내 물이 가지는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순수한 물(기준점)의 퍼텐셜을 0으로 두고, 토양 내 물이 상대적으로 어떤 에너지 상태에 있는지를 비교하여 측정됩니다. 토양수분퍼텐셜은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크기에 따라 물이 이동하는 방향이 결정됩니다. 즉, 물은 퍼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토양수분퍼텐셜의 구성 요소토양수분퍼텐셜은 여러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매트릭퍼텐셜(Matiric Potential) 토양 입자의 흡착력(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보유되는 힘.. 2025. 3. 21. 이전 1 2 3 4 ··· 1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