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_사료학

복숭아 재배 면적과 생산량 통계자료

by tekjiro02 2023. 9. 19.
728x90
반응형

7

복숭아의 인기

복숭아는 인기 있는 과일이기는 하지만 주요 과수 중에서는 가장 재배 면적이 작고 생산량이 적은 과일입니다. 보통 사과, 포도, 감귤, 배 순으로 되고 그다음이 복숭아가 되어왔죠. 그런데 최근 몇 년간은 복숭아가 3위까지 치고 올라왔습니다.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비교적 가파르게 증가한 셈인데요. 관련된 통계 자료 등을 모아봤습니다.

 

반응형

복숭아 생산 동향

1

주요 과수의 재배면적 추이입니다. 1995년에는 복숭아가 5위였는데 2017에는 3위까지 올라왔습니다. 재배면적은 1995년에는  10,241 ha에서 2017년에는 21,030 ha(2017)로 105%나 증가한 셈인데요. 배와 포도의 재배면적이 추락한 것에 비하면 급격한 상승이라 볼 수 있습니다. 최근 감귤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곧 복숭아가 2위 자리로 치고 올라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동안 복숭아 총생산량은 1980년 9만 톤에서 2005년 22만 톤까지 증가했습니다. 이후 2007년 13만 톤까지 감소하였다가 2017년 22만 톤까지 증가한 상태입니다. 2010년 이래로 복숭아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량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요. 그것은 복숭아의 생산량이 기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2005년에는 10a당 1490kg이 생산되었는데, 2017년에는 1057kg으로 상당히 생산량이 감소했죠. 어찌 보면 기후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가 복숭아 재배에 적당하지 않은 기후로 변해가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복숭아 생산액 및 가격

2

하지만 주목할 점은 바로 복숭아 생산액입니다. 생산액이랑 생산량과 가격을 곱한 수치인데요. 2008년부터 복숭아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복숭아의 절대 생산량도 늘어나고 생산액도 폭증했습니다. 이후 일시적 과생산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하고 있지요. 복숭아의 단위 생산량은 감소했지만 재배 면적은 증가하고, 복숭아 가격 또한 상승하여 전체 생산액이 증가하는 사이클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복숭아 선호가 높아지고 고품질 복숭아 생산으로 복숭아 가격까지 상승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복숭아 생산액은 1990년 1,296억 원에서 2017년 6,982억 원으로 이 기간 동안 439% 증가하였는데요. 그동안 복숭아의 평균가격은 200년부터 2007년까지 1,000원/kg 내외로 형성되다가, 2008년부터 가격이 급등하여 처음으로 2,000원 이상을 기록하였습니다. 2009년에는 3,469원/kg을 기록하여 최근까지 3,000원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비싼 과일입니다. 복숭아 가격의 상승은 또한 복숭아 재배면적의 증가를 가져왔는데요. 그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그래프 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2010년부터 증가세가 더 가팔라졌습니다. 2017년 현재의 복숭아 생산액은 7천억 원 수준입니다.

 

전국 복숭아 재배 동향과 주요 산지

3

전국의 어느 지역에서 복숭아가 많이 생산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복숭아 도별 재배면적은 경북과 충북이 전체의 75% 차지하는데요. 경북의 재배면적은 2000년도에 7,481 ha에서 2017년에는 9,928 ha로 33% 증가했습니다. 충북의 경우에는 2000년에 2,284 ha에서 2017년에는 5,827 ha로 155% 증가했는데요. 충북의 증가세가 가파르네요. 같은 기간 동안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배면적이 증가했지만 강원과 경남은 감소했다고 합니다. 기후가 잘 맞지 않아서일까요?

 

복숭아의 주요 산지 동향도 살펴보겠습니다.

2000년 10대 주산지는 경산 > 영천 > 청도 > 음성 > 충주 > 이천 > 영덕 > 연기 > 옥천 > 대구의 순이었는데요.

2015년 10대 주산지는 조금 변화가 있네요. 영천 > 충주 > 경산 > 음성 > 청도 > 영동 > 이천 > 김천 > 상주 > 의성의 순입니다. 2000년 3대 주산지였던 경산, 영천, 청도는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2015년 10대 주산지에 포함되었는데요. 충북권의 충주, 음성, 영동의 재배면적 증가가 큰 상황입니다. 그동안 복숭아의 주산지였던 충남 연기와 대구는 도시화에 따른 재배면적 감소와 타 지역의 재배면적 증가로 10대 주산지에서 제외된 상황이네요. 2015년 현재의 주산지는 3개 권역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데요. 제1권역은 대구 동쪽의 영천, 경산, 청도 지역, 제2권역은 경기남부와 충북 북부를 잇는 충주, 음성, 이천 지역, 제3권역은 충북 남부와 경북 서부를 잇는 영동, 김천, 상주 지역입니다.

 

지금까지 복숭아 재배 면적과 생산 동향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9.13 - [분류 전체보기] - 추석 선물용 과일 잘 고르는 방법 소개

 

추석 선물용 과일 잘 고르는 방법 소개

사과 사과를 고를 땐 전체적인 외관을 살펴보고 향기를 맡아본다. 꼭지 부분의 색이 골고루 잘 들어있고 밝은 느낌이 나는 것이 맛있는 과일이며, 향기가 강하지 않고 은은한 것이 신선하다. 과

tekjiro02.tistory.com

2023.07.26 - [분류 전체보기] - 과일 재배 지도가 바뀐다, 온난화의 영향 [원예작물학]

 

과일 재배 지도가 바뀐다, 온난화의 영향 [원예작물학]

아열대로 변해가는 우리나라 기후 최근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의 기후도 많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기온이 올라가고 뚜렷한 장마 없이 여름 내내 비가 자주 오는 등 아열대 기후로

tekjiro02.tistory.com

2023.09.07 - [분류 전체보기] - 사과, 배 과수원 태풍 전 꼭 점검해야 할 과제

 

사과, 배 과수원 태풍 전 꼭 점검해야 할 과제

필수 점검 3가지 태풍은 농업에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는데요. 특히 과수원의 경우에는 태풍에 대비하여 꼭 준비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배수로 정비, 병충해 방제, 가지 고정입니다. 여름

tekjiro02.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