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64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MCTS)의 개념과 구성 단계 [인공지능]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은 의사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입니다. 특히 포커나 바둑과 같은 보드 게임의 인공지능을 개발하는데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요. 그 유명한 알파고가 바로 MTCS를 이용해 코딩한 AI입니다. 바로 이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의 개념적 이해와 구성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은 경험적 탐색 알고리즘의 하나로서 무작위 탐색을 통해 최적의 답을 찾아가는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 쉽게 풀리지 않는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하나하나 숫자를 대입해 본다거나, 원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무작위로 수많은 점을 찍고 몇 개가 원의 면적 안에 존재하는지 세어 보는 등의 방법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즉, 어떤 특정한 공식 혹은 방정식을 모르거나 혹은 존재하지 않.. 2023. 6. 14. 자원식물의 특성과 산업적 이용에 대해서 [자원식물학] 자원식물은 주된 식량으로 사용되는 곡물과 채소 등의 산업 작물을 제외하고, 인류에게 유용한 상품을 생산해 내는 식물을 말합니다. 그 범위는 넓히면 식물성 기름을 얻는 데 사용되는 유채, 참깨와 같은 작물이 있을 수 있고, 좁히면 특정한 약용 물질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작물 등이 있겠네요. 다음은 이러한 자원식물의 특성과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에 대한 짧은 보고서입니다. 1. 자원식물의 특성 자원식물이라 함은 식물의 열매, 잎, 꽃 등을 포함한 모든 부산물을 인간에게 이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식물은 문명과 기술의 발달, 인간 생활사의 변화에 따라 시기에 따라 그 유용성 및 이용가능성이 달라지기도 하고 가치 자체가 변화해 가는 과정을 겪고 있다. 자원식물의 일반적인 특성은 아.. 2023. 6. 13. 마늘과 양파, 닮은점과 다른점 알아보아요 [원예작물학] 마늘과 양파는 같은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겉보기에는 다르면도 있지만 비슷한 점도 아주 많은 식물이에요. 자세히 알아볼까요? 1) 마늘 마늘은 백합과 파속의 식물로 인경과 단축경을 가지고 있고 뿌리는 다수의 섬유근이 단축경에 붙어 있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잎은 엽초와 엽신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영양생장기를 거쳐 적합한 환경에 처하면 화아분화와 동시에 인편분화가 되면서, 지하부 단축경의 엽액에서 착생되는 인편이 다수 모여서 인경이 형성되며 이 부위를 식용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림 1] 마늘의 형태 2) 양파 양파는 백합과의 결구성 엽채류로서 단축경에 잎은 원통형으로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작물이다. 15℃ 이하의 저온에 일정기간 노출되면 화아분화가 이루어지며 고온장일일 때 추대 개화하게 된다. 종자.. 2023. 6. 9. [원예작물학] 종자 발아, 무와 배추의 화아분화, 마늘과 양파 인경구 원예학은 채소, 과수, 화훼를 재배하고 경영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과학적 사실에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육종하고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원예학에서 다루는 작물은 앞서 소개했듯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바로 채소, 과수, 화훼입니다. 부가가치 순서대로 하면 화훼, 과수, 채소가 될 것입니다. 원예학이 지금 시점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땅은 한정되어 있는데 세계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19세기에는 식량 문제로 곧 인류가 절멸할 것이라는 경고도 있었지만, 현재까지도 인류가 번성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농업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식량 생산량이 전 인류를 먹여 살리고도 남기 때문입니다. 다가오는 미래를 대비하여 식량생산, 자원순환, 재생에너지와 같은 지속가능한 경제와 순환.. 2023. 6. 8. 이전 1 ··· 37 38 39 40 4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