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might as well leave.
그냥 떠나는 게 낫겠다.
(현재 상황에서 다른 대안이 없거나 더 나은 선택이 없을 때, 차라리 그렇게 하는 것이 낫다는 의미)
"might as well"은 특정 상황에서 어차피 다른 좋은 선택이 없을 때, 차선책을 선택하는 느낌으로 많이 쓰입니다.
특히 "might as well + 동사원형"의 형태로 관용적으로 "그냥 ~하는 게 낫겠다" 또는 "차라리 ~하는 게 좋겠다"라는 의미로 이해하고 활용하면 됩니다. 동사원형을 쓴다는 것을 기억해 두면 좋겠네요.
더 나은 선택지가 없거나, 상황이 별 차이가 없을 때 그냥 편의상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 나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There’s nothing more to do here. We might as well leave.
(여기서 더 할 일도 없으니 그냥 떠나는 게 낫겠다.)
Since the bus isn’t coming, we might as well walk.
(버스가 안 올 것 같으니 그냥 걸어가는 게 낫겠다.)
It’s raining all day, so we might as well stay home.
(하루 종일 비가 오니까 그냥 집에 있는 게 낫겠다.)
It's so late. We might as well take a taxi.
(너무 늦었으니까 그냥 택시 타는 게 낫겠다.)
Nobody else wants the last piece of cake. I might as well eat it.
(아무도 마지막 케이크를 안 먹으려 하니 그냥 내가 먹는 게 낫겠다.)
The store is closing soon, so we might as well buy it now.
(가게가 곧 문 닫으니까 그냥 지금 사는 게 낫겠다.)
There’s no point in waiting any longer. We might as well go home.
(더 기다려 봐야 소용없으니 그냥 집에 가는 게 낫겠다.)
이렇게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면 됩니다!
2025.03.17 - [영어공부_영어회화] - most 앞에 the를 꼭 붙여야 할까? 달라지는 의미 알아봐요
most 앞에 the를 꼭 붙여야 할까? 달라지는 의미 알아봐요
This is most popular in America. "This is most popular in America."는 문법적으로 어색합니다. 올바른 표현This is the most popular in America. → 특정 범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것을 말할 때 This is very popular in
tekjiro02.tistory.com
2025.03.13 - [영어공부_영어회화] - Just in case 도대체 무슨 뜻? 예문과 함께 알아봐요!
Just in case 도대체 무슨 뜻? 예문과 함께 알아봐요!
just in case는 “만약을 대비해서” 또는 “혹시 모르니까”라는 뜻입니다.단어만 곧이곧대로 하면 무슨뜻인지 알기가 어려운데 영어에서는 관용적으로 아주 널리 쓰이는 표현이라 익숙해지면
tekjiro02.tistory.com
2025.02.25 - [영어공부_영어회화] - 둘 다 "앉다"라는 뜻인데 어떻게 구별하지? sit과 seat의 의미 차이와 사용법
둘 다 "앉다"라는 뜻인데 어떻게 구별하지? sit과 seat의 의미 차이와 사용법
1. sit (동사)의미: 앉다, 앉아 있다 용법: 주어가 스스로 앉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타동사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주로 자동사로 사용됩니다. sit + 전치사 구조가 자주 사용됩니다.
tekjiro02.tistory.com
'영어공부_영어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 know how"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추임새, 예문과 함께 알아봐요 (0) | 2025.03.19 |
---|---|
"have a word" 잠깐 얘기하다 뜻과 예문 알아봐요 (0) | 2025.03.19 |
most 앞에 the를 꼭 붙여야 할까? 달라지는 의미 알아봐요 (0) | 2025.03.17 |
"because I'm driving" 지금 운전하고 있다는 뜻이 아닐 수 있어요! (1) | 2025.03.17 |
자기PR시대, PR이 도대체 뭐지?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