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_사료학

딸기 농사, 이런 생리장해 꼭 알아두세요!

by tekjiro02 2025. 4. 15.
반응형

11

🍓 딸기 농사, 이런 생리장해 꼭 알아두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딸기 재배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경험해 보셨을 딸기의 주요 생리장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병해충이 아닌, 환경이나 생리적인 원인으로 생기는 문제들인데요. 미리 알고 예방하거나 적절히 관리하면 수확량이나 품질을 훨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답니다. 

1️⃣ 기형과 (奇形果)

1


딸기를 수확하다 보면 모양이 제대로 안 나오고 뒤틀리거나 비정상적으로 크게 자란 과일이 있어요.

원인: 수분 불량, 꽃의 암술과 수술 이상, 개화기 저온, 일조량 부족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대책 및 예방법
개화기 적정 온도(15~25℃) 유지
충분한 일조 확보
벌, 꿀벌, 인공수분 적극 활용

 

꽃이 5℃ 이하의 저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온하거나 난방을 실시 한다.
낮에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매개충인 벌의 활동을 활발하게 유지시키고, 개화기 이후에는 농약 살포를 자제하여 화분의 임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온실 내에서 돌아다니는 벌의 수를 확인하고 활동이 없는 경우 벌통을 재구매하거나 소비를 보충하며 벌통 구입이 어려운 경우 뒤영벌을 추가 배치한다.

반응형

2️⃣ 속빈과 (空心果)
겉으로 보면 멀쩡한데, 반으로 잘라보면 속이 텅 비어 있거나 스펀지처럼 되어있는 과일도 있습니다.

원인: 질소 과다, 고온기 관리 소홀, 수분 과다 등

 

예방법:
비료 주는 양 조절
과습 피하고 배수 관리 철저히
온도 차 심한 날엔 환기 잘하기

728x90

3️⃣ 연화과 (軟化果)
딸기를 수확해보면 과육이 쉽게 물러지거나 무르게 되는 경우가 있어요.
원인: 고온, 과다 관수, 질소 비료 과다, 칼슘 결핍 등

 

예방법:
질소 비료 과용 금지
칼슘 엽면시비 주기적으로
온도 관리 및 과습 방지

4️⃣ 백과 (白果)
딸기 끝부분이 붉게 익지 않고 하얗게 남는 현상입니다.
원인: 일조 부족, 저온, 칼륨 부족

 

예방법:
해 뜨는 쪽으로 과실 방향 정리
적정 온도 유지
칼륨 비료 보충

5️⃣ 수과 (秀果) 불량
딸기 특유의 광택이 없고 색도 고르지 않거나 맛이 밍밍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원인: 일조량 부족, 온도 차, 비료 불균형

 

예방법:
충분한 햇빛 확보
아침저녁 환기로 온도차 줄이기
균형 잡힌 비료 설계

염류과잉장해

6

원인: 딸기는 원예 작물 중 비료 요구도가 가장 낮은 작목에 속한다.
딸기 수확 종료 후에 다음 정식할 때까지 보통 3~5개월간의 공백이 발생하는데 이 기간 동안 시설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하여 과다하게 축적된 염류농도를 낮추고 지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박과 멜론 등을 후작으로 재배할 경우 과다한 화학비료 시용으로 토양에 염류가 과잉되어 딸기 수확량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딸기 정식 전에 과다한 동물성 유기물을 투입하거나 딸기 재배 기간 동안 수확량 증대 및 당도 향상을 목표로 필요 이상의 비료를 과다 투입하여 염류 장해를 받기도 한다.


예방 및 대책 : 작물재배 전에 토양진단을 통하여 적정 시비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염류가 축적된 토양은 물을 공급하여 배수함으로써 염류를 빼내고 화학비료를 최대한 줄여 시비 하도록 한다.
벼와 수단그라스 등을 재배하여 제염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딸기의 수확 종료 후 하계 기간 동안 후작 재배(수박, 멜론, 토마토 등)를 지양한다.
하계 기간 동안 시설하우스에 유기물(쌀겨, 밀기울, 볏짚 등)을 2t/10a 정도 시용하고 충분히 관수한 후 비닐로 바닥을 멀칭하고 하우스를 1개월간 밀폐하여 태양열 소독을 실시할 경우 토양 물리 화학성이 개선되고 토양 병원균(시듦병 등) 밀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 마무리
딸기는 재배 환경의 변화에 아주 민감한 작물이에요. 병해충 못지않게 이런 생리장해들도 수확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평소 관찰과 관리가 정말 중요합니다. 생리장해가 발생하기 전에 환경과 비료, 물 관리만 잘해도 훨씬 안정적인 농사를 지을 수 있으니 꼭 체크해 보세요!

혹시 궁금한 점이나 재배 중 생긴 문제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해보고 해결책도 찾아드릴게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025.04.14 - [농학_사료학] - 토마토 재배할 때 꼭 알아야 할! 토마토 과실 생리장해 총정리

 

토마토 재배할 때 꼭 알아야 할! 토마토 과실 생리장해 총정리

토마토 재배할 때 꼭 알아야 할! 토마토 과실 생리장해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마토를 키우다 보면 한 번쯤 겪게 되는 토마토 과실 생리장해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해

tekjiro02.tistory.com

2025.03.23 - [농학_사료학] - [사료학]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에 대해 알아봐요

 

[사료학]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에 대해 알아봐요

소 사료로 쓰이는 풀과 작물은 크게 목초, 사일리지용 작물, 곡물 사료로 나뉩니다. 소와 같은 반추동물은 곡물 사료와 함께 건초, 사일리지등의 조사료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반추동물의 생리

tekjiro02.tistory.com

2023.09.13 - [농학_사료학] - 토종돼지로 개발한 맛좋은 우리흑돈 소개

 

토종돼지로 개발한 맛좋은 우리흑돈 소개

우리흑돈이 뭔가요? ‘우리흑돈’은 우리나라 유일한 품종인 재래종의 혈통을 계승하고 있는 신품종입니다. 재래돼지인 ‘축진참돈’과 개량종인 ‘축진듀록’과의 교배로 개발된 흑돼지입니

tekjiro02.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