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비자물가지수 분석, 실업률 분석, 경제통계의 이해

by tekjiro02 2023. 7. 3.
반응형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다운로드 받은 후 아래의 물음에 답하시오.
* 2015 2020 년도부터 연도까지 월 단위 자료를 다운로드

자료 1. 소비자물가지수(2015=100) (ECOS 7. 복수통계 물가)
자료 2. 실업률 (ECOS 17. 복수통계 거시경제분석지표)


(1) 자료 1. 소비자물가지수를 이용하여 전년동월대비 물가상승률 자료를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생성하시오. 단 엑셀에서 로그 차분 후 % 단위로 전환하시오. (함수는 “=(ln( )-ln( ))*100” ).
답안에는 이렇게 생성된 물가상승률 자료의 시계열 그래프(꺾은선형)를 그리시오.


 과제에서 제시된 바에 따라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로 환산하여 꺾은선그래프로 표현하였다. 추이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소비자물가는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전년 동월대비 하락한 경우는 2번밖에 없었음을 알 수 있다.

(2) 2016년~2020년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기초통계량 표를 제시하시오 (엑셀 분석도구에서 기술통계법 실행)



 엑셀 분석도구의 기술통계법을 사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에 대한 기초통계량 표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통계분석에 필요한 수치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기간 동안의 실업률 평균은 3.78%이고 최댓값은 4.9%, 최솟값은 3.00%이며 표준 편차는 0.49로 실업률의 편차는 비교적 고른 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물가상승률의 경우에는 평균이 1.06%이고 최댓값은 2.46%, 최솟값은 -0.43%로 나타났고 표준 편차는 0.71로 실업률에 비해서는 편차가 있는 편이라 판단된다.

(3) 2016년 ~2020년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산포도 그래프(분산형)를 그리시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형 산포도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산포도 그래프의 추세선을 산출한 결과 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2016년 ~2020년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상관계수 표를 제시하시오. (엑셀 분석도구에서 상관분석 실행)



 앞서 (3) 번 항목에서 확인하였던 내용을 엑셀 분석도구의 상관분석을 통해 자세하게 수치로 확인하였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상관계수는 -0.0407로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업률의 하락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5) 2016년 이후 우리 경제에서 필립스 곡선은 유효한가?

필립스 곡선이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분석이다. 인플레이션은 명목 임금 상승률과 연관이 있고 이것이 곧 물가상승률이라고 대치했을 때, 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감소함을 보여주는 곡선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필립스 곡선은 비교적 단기에만 성립하고 장기적으로는 실업률이 본래의 수치로 회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과제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전년동월대비 물가상승률을 계산하였고, 해당 시기의 실업률과 이 물가상승률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산포도와 상관계수 계산된 값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계산된 상관계수는 -0.0407로 비교적 약한 상관관계라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